◈ 맹자 이야기 ◈ 韓 國 古 典 諧 謔 ~ 60 ◈ 맹자 이야기 ◈ 天將降大任於斯人也인대 (천장강대임어사인야) 必先勞其心志하고 苦其筋骨하고 餓其體膚하고 (필선노기심지) (고기근골) (아기체부) 窮乏其身行하여 拂亂其所爲하나니 (궁핍기신행) (불란기소위) 是故는 動心忍性하여 增益其所不能이니라. (시.. 중국 ■ 고전 2017.12.25
◆ 勸學詩(권학시) ◆ 中 國 古 典 諧 謔 ~ 59 ◆ 勸學詩 ◆ 권학시 少年易老 學難成 (소년이로 학난성) 一寸光陰 不可輕 (일촌광음 불가경) 未覺池塘 春草夢 (미교지당 춘초몽) 階前梧葉 已秋聲 (계전오엽 이추성)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나니 순간 순간의 세월을 가벼이 보내지 마라 연못가의 봄.. 중국 ■ 고전 2017.12.14
◆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 中 國 古 典 諧 謔 ~ 58 ◆ 前有樽酒行 ◆ 전유준주행 春風東來忽相遇(춘풍동래홀상우) : 봄바람 동에서 불어 홀연히 서로 휘몰아 金樽淥酒生微波(금준록주생미파) : 금 술통에 맑은 술 찰랑거린다 花落紛紛稍覺多(화락분분초각다) : 꽃잎은 점점 펄펄 날아들고 美人欲醉朱顔酡(미.. 중국 ■ 고전 2017.11.23
◆ 待酒不至(대주불지) ◆ 中 國 古 典 諧 謔 ~ 57 ◆ 待酒不至 ◆ 대주불지 술 사려 보냈는데 오지 않고 玉壺繫青絲(옥호계청사) : 푸른 끈 맨 술병 들고 갔는데 沽酒來何遲(고주래하지) : 술 사오기 어찌 이리 늦는고 山花向我笑(산화향아소) : 산꽃이 나를 향해 웃음 지으니 正好銜杯時(정호함배시) : 이 정말 술.. 중국 ■ 고전 2017.10.31
◆ 將進酒(장진주) ◆ 中 國 古 典 諧 謔 ~ 56 ◆ 將進酒 ◆ 장진주 초서로 쓴 將進酒 이백 [Li Po, 李白] 중국 당 [唐] 시인 (701~762) 중국 당대(唐代)의 시인. 자는 태백(太白). 청련거사(靑蓮居士)라고도 한다.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최고의 고전시인으로 꼽힌다. 君不見 그대여 보게나 黃河之水天上來 황하의 물이 .. 중국 ■ 고전 2017.10.30
◆ 觀書有感(관서유감) ◆ 中 國 古 典 諧 謔 ~ 55 ◆ 觀書有感 二首 ◆ 관서유감 ◐ 주희(朱熹) ◑ 중국 남송 때의 유학자 (1130年 ~ 1200年) 觀書有感 책을 읽으며 (2수) 一. 半畝方塘一鑑開 (반무방당일감개) 天光雲影共徘徊 (천광운영공배회) 問渠那得淸如許 (문거나득청여허) 爲有源頭活水來 (위유원두활수내) 조그만.. 중국 ■ 고전 2017.09.07
◆ 望廬山瀑布(망여산폭포) ◆ 中 國 古 典 諧 謔 ~ 54 ◆ 望廬山瀑布 ◆ 망여산폭포 望廬山瀑布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이백(李白) 日照香爐生紫烟(일조향로생자연) 향로봉에 햇살 들어 붉그레 안개 피어나는데 遙看瀑布掛前川(요간폭포괘전천) 멀리 폭포 바라보니 어허 냇물이 걸려 있네. 飛流直下三千尺(비류직하삼천.. 중국 ■ 고전 2017.09.05
◆ 京師得家書(경사득가서) ◆ 中 國 古 典 諧 謔 ~ 53 ◆ 京師得家書 ◆ (경사득가서) 京師得家書 집에서 온 편지 원개(袁凱) 江水一千里 家書十五行 (강수일천리) (가서십오행) 行行無別語 只道早還鄕 (행행무별어) (지도조환향) 일천리 흐르는 강물 받은 편지 열 다섯 줄 별다른 말은 없고 일찍 돌아오라 당부 뿐이네 * '.. 중국 ■ 고전 2017.09.04
◆ 공자 이야기 ◆ 中 國 古 典 諧 謔 ~ 52 ◆ 공자 이야기 ◆ 공자가 하지 않은 일이 네 가지 있었다. 무슨 일이든 확실하지 않는데도 지레짐작으로 단정을 내리는 의(意) 자기 언행에서 반드시 틀림없다고 단정 내리는 필(必) 자기의 의견만 옳다고 고집하는 고(固) 매사를 자기만을 위한 이기적인 아(我)이다.. 중국 ■ 고전 2017.09.01
◆ 맹자 이야기 ◆ 中 國 古 典 諧 謔 ~ 51 ◆ 맹자 이야기 ◆ 天將降大任於斯人也인대 (천장강대임어사인야) 必先勞其心志하고 苦其筋骨하고 餓其體膚하고 (필선노기심지) (고기근골) (아기체부) 窮乏其身行하여 拂亂其所爲하나니 (궁핍기신행) (불란기소위) 是故는 動心忍性하여 增益其所不能이니라. (시.. 중국 ■ 고전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