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한마음 깨치면 부처 ◑ 禪 林 寶 典 ~ 98 ◑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 ◐ 2. 한마음 깨치면 부처 ◑ 황벽(黃檗: ?-850) 스님이 배휴(裵休:797-870)에게 말씀하셨다. 이마음은 본래로부터 생기거나 없어진 적이 없으며, 푸르거나 누렇지도 않다. 정해진 틀이나 모양도 없으며, 있고 없음에 속하지도 않고, 새롭거나 낡.. 禪 林 寶 典 2017.04.03
◐ 1. 서문(序文) ◑ 禪 林 寶 典 ~ 97 ◑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 ◐ 1. 서문(序文) ◑ 당나라 하동 배휴는 모으고 아울러 서문을 쓰노라. 대선사가 계셨으니 법휘는 희운이시다. 홍주 고안현 황벽산 축봉 아래 머무시니, 조계 육조의 적손이요 백장의 사법 제자이며 서당의 법질이다. 홀로 최상승의 패를 .. 禪 林 寶 典 2017.04.03
◐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 ◐ 머리말 ◑ 禪 林 寶 典 ~ 96 ◑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 ◐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머리말 ◑ 서천 28대로 계계상승(繼繼相承)한 법등(法燈)은 달마스님을 효시(嚆矢)로하여 동토(東土)에서 그 빛을 밝히고, 장차 한 꽃이 다섯 잎이 피어날[一花開五葉] 씨앗을 비로소 뿌리시니, 이것이 달마정전.. 禪 林 寶 典 2017.04.03
◐ 52. 일체처무심(一切處無心)이 해탈(解脫) ◑ 禪 林 寶 典 ~ 95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52. 일체처무심(一切處無心)이 해탈(解脫) ◑ "만약 일체 모든 행을 닦아서 구족하여 성취하면 수기를 얻을 수 있읍니까?" "얻을 수 없느니라." "만약 일체의 법을 닦지 아니하고서 성취하면 수기를 얻을 수 있읍니까?" "얻을 .. 禪 林 寶 典 2017.04.03
◐ 51. 중도(中道)는 일체처무심(一切處無心) ◑ 禪 林 寶 典 ~ 94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51. 중도(中道)는 일체처무심(一切處無心) ◑ "어떤 것이 중도입니까?" "중간도 없고 또한 이변(二邊)도 없음이 곧 중도니라." "어떤 것이 이변입니까?" "저 마음이 있고 이 마음이 있음이 이변이니라." "어떤 것을 저 마음, 이 .. 禪 林 寶 典 2017.04.03
◐ 50. 진여정(眞如定) ◑ 禪 林 寶 典 ~ 93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50. 진여정(眞如定) ◑ "어떤 것이 진여의 선정입니까?" "선정도 없고 선정이 없음도 없음이 곧 진여의 선정이니, 경에 이르기를 '정한 법(定法)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이름할 것이 없으며 또한 여래가 설명할 정한 법이 .. 禪 林 寶 典 2017.04.03
◐ 49. 필경공(畢竟空) ◑ 禪 林 寶 典 ~ 92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49. 필경공(畢竟空) ◑ "어떤 것이 필경의 공함입니까?" "공함도 없고 공함이 없음도 없음을 곧 필경 공함이라고 하느니라." 問 云何是畢竟空. 答 無空無無空 卽名畢竟空 나무 석가모니불! 성불 하십시오 禪 林 寶 典 2017.04.03
◐ 48. 필경득(畢竟得) ◑ 禪 林 寶 典 ~ 91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48. 필경득(畢竟得) ◑ "어떻게 도를 얻습니까?" "필경에 얻음으로써 얻음을 삼느니라." "어떤 것이 필경의 얻음입니까?" "얻음도 없고 얻음이 없음도 없음을 필경의 얻음이라 하느니라." 問 云何得道. 答 以畢竟得 爲得. 問 云.. 禪 林 寶 典 2017.04.03
◐ 47. 진해탈(眞解脫) ◑ 禪 林 寶 典 ~ 90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47. 진해탈(眞解脫) ◑ "어떤 것이 해탈한 마음입니까?" "해탈한 마음도 없고 또한 해탈한 마음이 없음도 없음이 곧 참 해탈이니라. 경에 이르기를 '오히려 법도 마땅히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리오' 하였으니 법.. 禪 林 寶 典 2017.04.03
◐ 46. 필경증(畢竟證) ◑ 禪 林 寶 典 ~ 89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 46. 필경증(畢竟證) ◑ "도를 닦는 사람은 무엇으로 증함을 삼습니까?" "필경 증함으로 증함을 삼느니라." "어떤 것이 필경 증함입니까?" "증함이 없음과 증함이 없음도 없음이 필경 증함이라 하느니라." "어떤 것이 증함이 없.. 禪 林 寶 典 2017.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