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春日城山偶書 ◈ 춘일성산우서 봄날 성산에서 誰謂吾生窶(수위오생구) 春來事事奇(춘래사사기) 山鋪紅錦障(산포홍금장) 天作碧羅帷(천작벽라유) 拂石雲生袖(불석운생수) 呼樽月滿危(호준월만위) 古書還有味(고서환유미) 芻豢可忘飢(추환가망기) ● 김성일(金誠一·1538~1593) ● 봄날 성산에서 누가 우리 살림살이 가난하다더냐? 봄 되면 모든 것이 기이한 것을. 산에서는 붉은 비단 병풍을 치고 하늘은 푸른 비단 휘장을 친다. 바위 스치자 소맷자락에서 구름이 피어나고 술잔을 드니 달빛은 잘람잘람 넘친다. 옛 책을 읽는 것이 으뜸가는 멋 그 좋다는 고기 맛도 잊어버린다. 선조 때의 명신 학봉(鶴峰) 김성일이 1587년 50세에 지었다. 그전 해 연말에 벼슬에서 물러난 학봉은 안동 서쪽의 낙동강 가에 있는 청성산(靑城山)에 머물렀다. 호사스러운 생활 뒤의 공허함과 우울함이 찾아왔다. 그러나 그 기분 오래가지 않았다. 봄이 찾아오자 모든 것이 의욕을 일깨운다. 산은 붉은 꽃을 병풍처럼 두르고, 하늘에는 비취빛 휘장을 드리운다. 아침 되어 산에 올라 팔을 휘두르면 구름이 피었다가 흩어지고, 밤 되어 술잔을 들면 달빛이 넘쳐 쏟아질 것만 같다. 공직에서 벗어나자 자연의 하나하나가 더 신기하고 더 새로워 보인다. 책을 읽는 맛이 물리게 먹던 고기 맛보다 더 좋다는 것도 알게 됐다. 힘들게 사는 것처럼 보이는가? 오히려 그 반대다. 봄철의 모든 것이 새롭다. | ||||||
'한국 ■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화냥년'과 호로자식'의 유래 ◈ (0) | 2017.09.13 |
---|---|
◈ 선비의 마음가짐 ◈ (0) | 2017.09.12 |
◈ 海(바다) ◈ (0) | 2017.09.08 |
◈ 有所感(유소감) ◈ (0) | 2017.09.06 |
◈ 影(영) ◈ (0) | 201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