普賢行願品 ~ 54 

◐ 金泥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 ◐ 신수봉행(信受奉行)하더라 ◑ 
이시(爾時)에 세존(世尊)이 여제성자보살마가살(與諸聖者菩薩摩訶薩)로 연설여시부가사의해탈경계승법문시(演說如是不可思議解脫境界勝法門時)에 문수사리보살(文殊師利菩薩)이 이위상수(而爲上首)하시며 제대보살(諸大菩薩)과 급소성숙육천비구(及所成熟六千比丘)와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이위상수(而爲上首)하시며
현겁일체제대보살(賢劫一切諸大菩薩)과 무구보현보살(無垢普賢菩薩)이 이위상수(而爲上首)하시며 일생보처(一生補處)로 주관정위(住灌頂位)한 제대보살(諸大菩薩)과 급여십방종종세계(及餘十方種種世界)에 보래집회(普來集會)한 일체찰해극미진수제보살마가살중(一切刹海極微塵數諸菩薩摩訶薩衆)과 대지사리불(大智舍利弗)과 마가목건련등(摩訶目犍連等)이 이위상수(而爲上首)어든 제대성문(諸大聲聞)과 병제인천일체세주(幷諸人天一切世主)와 천룡야차건달파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天龍夜叉乾闥婆阿修羅迦樓羅緊那羅摩睺羅伽)와 인비인등(人非人等)의 일체대중(一切大衆)이 문불소설(聞佛所說)하사옵고 개대환희(皆大歡喜)하야 신수봉행(信受奉行)하시니라.
(경문) 그때 부처님께서 성스럽고 거룩한 여러 보살마하살과 함께 이와 같은 불가사의한 해탈경계의 훌륭한 법문을 연설하실 때 문수사리보살을 상수로 한 여러 큰 보살들과 그들이 성숙시킨 육천 비구와 미륵보살을 상수로 한 현겁(賢劫)의 일체 모든 대보살들과 무구보현보살이 상수로 한 일생보처로서 정수리에 물을 붓는 지위에 있는 여러 큰 보살들과 그리고 시방의 가지가지 세계에서 모여온 모든 세계의 아주 작은 먼지 수 같이 많은 모든 보살마하살들과
큰 지혜 있는 사리불과 마하목건련 등이 상수로 한 여러 큰 성문들과 아울러 여러 인간세상과 하늘세상의 주인들과 천신, 용왕,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사람인 듯 사람 아닌 듯 한 등등의 일체 대중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여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해설] 여기까지가 경전 중에서 가장 길고 방대한 대방광불화엄경의 끝이다. 화엄경은 길고 방대할 뿐만 아니라 부처님이 깨달으신 내용을 하나도 남김없이 그리고 방편이라는 거품도 없이 진리의 순수성을 철저히 드러낸 경전이다.
그래서 부처님의 깨달음은 인류사에 가장 큰 사건이며 그 깨달음의 내용을 남김없이 표현한 화엄경은 인류가 남긴 최대의 걸작품이다 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거의 모든 경전은, “이와 같은 사실들을 보고 들었습니다. ”라고 시작하여[여시아문(如是我聞)].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여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라고 끝을 맺는다. [문불소설(聞佛所說) 개대환희(皆大歡喜) 신수봉행(信受奉行)].
물론 이 보현행원품은 길고 긴 화엄경의 1백분의 1정도에 해당하는 맨 끝 부분이다. 그러나 화엄경의 결론과 불교의 결론이 잘 나타나 있어서 하나의 완벽한 경전으로서도 전혀 손색이 없다.
만약 이 보현행원품도 길다고 느껴지면 부처님이 영산회상에서 들어보였던 한 송이 꽃을 불교라고 생각해도 상관없다. 한 송이 꽃도 번거롭다면 구지선사의 아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의 한 손가락으로도 불교는 충분하다.
이와 같이 불교는 늘리면 팔만장경이요, 줄이면 한 손가락이다. 모두가 이해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달려있고 안목에 달려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깊은 이치를 삶에 활용하지 못한다면 이 보현행원품을 읽고 또 읽어서 몸소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리라.
보현행원을 가장 간단하게 요약해서 표현하면 “사람사람이 모두 부처님이라는 사실을 깊이 이해하고 모든 사람들을 부처님으로 받들어 섬기면 그도 행복하고 나도 또한 행복하다.
나아가서 모든 사람이 이 이치를 실천하면 전 인류가 모두 행복하게 사는 길이 여기에 있다.”는 가르침이다.
~무루 옮김~

나무 석가모니불! 성불 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