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고전
◈ 俚諺引 艶調(이어인염조) ◈
무루2
2017. 5. 30. 10:50
◈ 俚諺引 艶調 ◈ (이언인 염조) 歡 言 自 酒 家 儂 言 自 娼 家 (환언자주가) (농언자창가) 如 何 汗 衫 上 臙 脂 染 作 花 (여하한삼상) (연지염작화) 당신 말로는 술집에서 왔다지만 내 생각엔 기생집에서 논 것 같아요. 어떻게 해서 속적삼 위에 연지가 꽃모양으로 찍혀 있지요 ● 文無子 李鈺(1760-1813) ● 아낙네의 암시(暗示)는 실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 ||||||